본문 바로가기

전체

방화벽 설정 시 CIDR에 대해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방화벽을 설정할때 IP/CIDR을 지정하여 사용하는데 여기서 CIDR에 대해 알아보자위키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9D%B4%EB%8D%94_(%EB%84%A4%ED%8A%B8%EC%9B%8C%ED%82%B9)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 http://jodies.de/ipcalc 예를들어 방화벽 설정을 192.168.0.1/32 로 지정했다면 해당 IP만 허용하게 된다.그리고 192.168.0.1/24로 지정하게 될 경우 192.168.1.1 ~ 192.168.1.254까지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더보기
도메인 요청에 따라 처리 방식 다르게 처리 A.A.A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호출하도록 프록시 설정 $vi /etc/nginx/conf.d/default.conf 아래 설정 추가 후 nginx 재시작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A.A.A; include /etc/nginx/default.d/*.conf; location / { proxy_pass http://B.B.B/; } } 이렇게 설정을 하면 A.A.A로 들어온 요청을 B.B.B 서버로 넘겨주고 응답 받는다. C.C.C 도메인으로 요청을 받아 처리하기 $vi /etc/nginx/conf.d/default.conf 아래 설정 추가 후 nginx 재시작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C.C.C; include /etc/nginx/def.. 더보기
여러 프로세스 죽이기 리눅스를 하다보면 동일한 프로세스가 여러개 뜨는 경우가 발생하는데일일이 kill로 죽이기 귀찮으니 아래와 같이 한방에 다 죽여버리자! kill -9 `ps -ef | grep 프로세스이름 | grep -v grep | awk '{print $2}'` http://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_%ED%94%84%EB%A1%9C%EC%84%B8%EC%8A%A4_%EC%97%AC%EB%9F%AC_%EA%B0%9C_%EC%A4%91%EC%A7%80 더보기
크롬을 이용하여 모바일에서 inspect 활성 https://nigayo.github.io/javascript/2014/03/14/Chrome_Android_remote_debugging.html PC에서는 크롬을 이용하면 F12만 누르면 쉽게 웹 페이지 소스와 네트워크 등등을 확인 할 수 있다.이것을 모바일에서 동작 시켜 보자! 안드로이드 기준으로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 후 USB 디버깅을 하고 USB를 이용하여 PC에 접속!이때 PTP 모드로 접속해야 한다 (우리가 자주 쓰는 방식은 MTP이다.)폰과 PC를 연결하였다면 크롬으로 접속하여 아래 URL로 이동한다.chrome://inspect/#devices 연결이 되었다면 화면에 디바이스 기종이 나타나며 핸드폰에서 웹페이지를 동작하면 디바이스 정보 밑에 아래와 같이 활성화 되면 inspect를 클릭.. 더보기
DB 디렉토리 심볼릭 링크 걸기 DB 디렉토리가 있는 파티션의 용량이 모자라 옴기기로 결정. 심볼릭 링크를 통하여 변경하도록 하자. 나느 그냥 mysql 디렉토리를 통으로 옴김. 상황에 따라 데이터 디렉토리만 옴겨도 상관 없다. 1. mysql 데몬 중지 #service mysql stop 2. /var/lib/mysql 디렉토리를 /home으로 이동 # mv /var/lib/mysql /home 3. 심볼릭 링크를 설정 # ln –s /home/mysql /var/lib/mysql 4. mysql 구동 후 이상 유무 확인 #service mysql start http://faq.hostway.co.kr/Linux_DB/1309 더보기
bashrc 서버 재접속 시 적용 안되는 문제 계정을 생성하였는데 /home/계정 디렉토리가 생성되지 않아디렉토리를 생성하고 .bashrc 파일을 적용하였는데 재접속 후 .bashrc가 적용이 되지 않는다.... 적용이 되지 않는 계정으로 접속 후$vi ~/.bash_profile에 아래 내용 추가 if [ -f ~/.bashrc ]; then . ~/.bashrc fi 로그인을 하면 bash_profile을 한번 호출을 하게 되고 해당 bash_profile에 .bashrc를 적용해야 .bashrc가 적용이 되는데 bash_profile이 없다보니 bashrc가 적용이 안된것 같다. bashrc의 경우에는 shell이 실행될 때마다 적용이 된다. 더보기
MYSQL DB DUMP DUMP 전체 dumpmysqldump -uID -pP/W DB명 > DUMP 파일명 원격 dumpmysqldump -hIP -uID -pP/W DB명 > DUMP 파일명 구조만 dumpmysqldump -d -uID -pP/W DB명 > DUMP 파일명 RESTORE부등호만 반대로 하면 됨mysqldump -uID -pP/W DB명 더보기
우분투에서 mariaDB 설치 가이드가 아주 잘 되어 있다.시키는 대로 하면 되는데 시키는대로 안해서 삽질을 했다...설치된 우분투 버전이 12.04인데 15.10으로 선택해놓고 하라는데로 하는데 왜 안되지? 라는 멍청한 말만 되풀이를 하다가OS 버전 선택한걸 발견하였다. 침착하게 봐야 하거늘... 참고 - https://downloads.mariadb.org/mariadb/repositories/#mirror=kaist&distro=Ubuntu&distro_release=precise--ubuntu_precise&version=10.0 그리고 DB 계정을 설정하고 외부 툴로 붙기 시도를 하였는데 안됨... 방화벽도 열어놨는데 접속이 안됨...구글에 검색해보니 로컬만 붙도록 설정 되어 있었다... $vi /etc/mysql/my.cn.. 더보기
시스템 모니터링 SAR 리눅스 시스템 모니터링 툴참고 - http://sebastien.godard.pagesperso-orange.fr/documentation.html - http://www.cubrid.com/zbxe/71317 설치CentOS - $yum install sysstatUbuntu - $apt-get install sysstat 난 Ubuntu root 계정으로 설치를 진행하였다. $vi /etc/default/sysstatENABLED="false" -> #ENABLED="true" 로 수정한다. $/etc/init.d/sysstat start실행! $vi /var/log/sysstat해당 디렉토리르 보면 로그가 기록 된다.그런데 처음에는 바이너리로 생성이되어 볼수가 없다그럴땐$sar -f /var.. 더보기
vim 편집기 설치 찾을때 귀찮아서 남김.. CentOS 기준$yum install vim-enhanced bash 설정해주면 $vi 명령으로도 vim 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다. 더보기